프랑스 정부는 해외 과학자와 자국 내 대학과 연구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Choose France for Science 프로그램을 출범
- 특히 보건, 기후변화, 디지털 기술, 우주 분야의 연구자가 주요 타겟이며, 미국 과학자 유치를 염두에 두고 있으나 국적 제한은 없음
- 프랑스 교육부 관계자에 따르면 과학자의 연구 주제의 적절성이 선정 기준이며, 원활한 정착을 위해 국가 연구 예산 외 별도 자원을 투입해 채용비의 최대 50%를 부담할 것(나머지 비용은 지방 당국과 민간 부문의 도움을 받아 기관이 자체적으로 부담)
- 다른 EU 회원국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을 시작. 노르웨이 연구위원회는 최근 국제 연구자 채용을 위해 840만 유로의 기금을 발표했고, 독일도 인프라 및 기후 패키지를 활용해 미국 과학자 유치를 논의 중임
- 그러나 프랑스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반응도 존재하는데, 파리 시테 대학의 Besson 강사는 프로그램의 의도는 훌륭하나 프랑스의 낮은 연구 투자 수준과 경쟁력 부족한 임금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였으며, 경제학자 Askenazy는 미국의 과학 환경이 여전히 뛰어나 대규모 이탈이 발생할 것이라는 기대는 무의미하다고 지적
-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미국 과학자들의 해외 이탈 조짐은 나타남. 2025년 1~3월 사이 미국발 해외 연구직 지원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
이외에도 프랑스에서는 대학 자체 프로그램과 과학 비자 제도를 통해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정착을 돕는 노력이 나타남
- 프랑스의 엑스마르세유 대학은 자체 프로그램인 ‘Safe Place for Science를 통해 한 달 만에 NASA, 예일대, 스탠퍼드대 출신 포함 약 300건의 신청서를 접수
- 대학 총장 Berton에 따르면 신청자 다수는 암호화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지원했고, 일부는 위협적이고 충격적인 경험담을 함께 전달함
- 지원자들은 이직의 이유로 향후 자금 출처에 대한 불투명성과 연구 자유 제한이나 연구 커뮤니티의 불안을 야기하는 정치적 분위기를 꼽음
- Berton은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정치적 압력을 받는 과학자들을 위한 ‘과학 난민’ 지위 신설을 제안. 이는 언론인이나 정치적 반대자들과 유사한 보호를 제공하는 제도로, 프랑스 국회에 관련 법안이 이미 제출됨
- Berton은 해당 법안이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는 과학자들의 지속적 보호 장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
- 한편, 자하리에바 EU 연구 담당 집행위원은 이전에 ‘과학을 위한 특별 여권’ 구상을 언급했으나, 아직 구체적 제안은 나오지 않은 상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