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 AI 및 양자기술 연구 추진을 위한 새 의제 발표(6.19)

G7 국가들은 정상회의에서 인공지능과 양자기술 분야의 새로운 조치와 계획에 합의

  • 캐나다에서 열린 올해 정상회의 이후, G7 국가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공공부문에서의 AI 활용 촉진과 양자기술 분야의 기술 유출 방지 강화에 나서기로 결정
  • G7은 AI가 중소기업 지원 및 공공부문의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AI 사용 필요성을 강조
  • 2023년 말 AI 기술의 통제력 상실 시 “심각하고 재앙적 피해" 가능성을 경고했던 이전 입장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AI가 경제 활성화와 공공예산 절감에 기여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추세임
  • 구체적으로 공공부문의 AI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G7 GovAI Grand Challenge’를 출범하고, 공공행정을 가속화에 효과적인 AI 도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
  • 캐나다 새 정부는 최근 공공 서비스에 AI 통합을 위한 자체 계획을 발표했으며, 영국도 AI 도입으로 연간 공공행정 비용을 450억 파운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음
  • 또한 G7은 AI 연구와 실질적 응용을 연계한 AI 도입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특히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컴퓨팅 인프라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
  • 다만 AI의 증가하는 에너지 소비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하며, AI의 에너지 효율성과 자원 효율성 향상을 위한 혁신을 지원할 계획임
  • 학생을 포함 AI 인재 교류 확대를 위한 G7 국가 간 교류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중소기업과 AI 전문가 간 연결을 촉진할 예정
  • 양자기술에 대해서는 지난 10년간 연구개발의 획기적인 진전으로 사회적, 경제적 이익 창출이 기대되는 동시에 국가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
  • 이에 따라 “유사한 가치관을 가진 파트너 간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과 ”민감한 기술 유출 방지"에 중점을 두기로 함. 중국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민주주의 국가들이 중국을 제외한 양자기술 동맹을 구축해 온 배경과 관련 있을 것으로 해석됨
  • G7은 학계와 산업계 간 국제적 교류도 더욱 강화할 계획

 

 

SOURCE: SB

Print Friendly, PDF & Email
Facebook
Twitter
LinkedIn
Pinterest